반응형
배달앱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늘어나는 것이 바로 배달 음식 쓰레기입니다. 하지만 포장재마다 재질이 다르고, 헷갈리는 분리수거 방법 때문에 잘못된 배출이 많아 환경오염으로 이어지고 있죠. 오늘은 플라스틱, 종이, 은박 등 다양한 배달 포장재의 올바른 처리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1. 배달 용기, 모두 재활용 가능한 건 아닙니다
- 깨끗이 씻겨야 재활용 가능
- 기름기, 음식물 묻은 채 배출 시 → 일반쓰레기
- 복합재질(은박+종이 등)은 분리 불가 → 일반쓰레기 처리
2. 재질별 배달 용기 처리법
① 플라스틱 용기
- 검정/반투명 플라스틱은 음식물 제거 후 세척하여 플라스틱류로 분리
- 열변형된 용기(찢어진, 녹은 상태)는 재활용 불가
- 투명 뚜껑(PS)은 따로 분리해서 배출
② 종이 포장재
- 깨끗한 피자 박스, 종이봉투 등은 종이류
- 기름 묻은 부분: 오염된 부분은 일반쓰레기
- 알루미늄 코팅된 종이: 일반쓰레기로 처리
③ 은박·알루미늄 포장
- 치킨 포장, 반찬 은박 그릇 등은 대부분 재활용 불가
- 내용물 비우고 종이에 싸서 일반쓰레기로 배출
④ 일회용 젓가락·숟가락
- 나무젓가락: 오염되었으므로 일반쓰레기
- 플라스틱 숟가락: 세척 시 플라스틱류 가능
- 오염되었거나 음식물 묻었을 경우: 일반쓰레기
⑤ 스티로폼 용기
- 깨끗한 상태: 스티로폼 분리수거 가능
- 음식물·기름 묻은 상태: 일반쓰레기
3. 배달 포장 쓰레기 분리수거 전 체크리스트
- 내용물 비우기
- 기름·찌꺼기 제거 후 헹굼
- 재질별로 분리 (뚜껑/용기/내포장 구분)
- 분리 안 되는 복합재질은 일반쓰레기로 처리
4.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피자박스는 종이로 분리되나요?
A. 기름 묻지 않은 부분은 종이류, 오염된 부분은 일반쓰레기입니다. - Q. 플라스틱인데 왜 안 된다고 하나요?
A. 기름기나 음식물 찌꺼기가 있으면 재활용 공정에서 거부됩니다. - Q. 알루미늄 은박 용기는 금속류 아닌가요?
A. 대부분 얇은 복합재질로 재활용이 어려워 일반쓰레기로 처리됩니다.
5. 배달용 쓰레기 줄이는 팁
- 배달 시 일회용 수저 거절하기 (앱 설정에서 가능)
-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이용 (일부 지역 운영 중)
- 공용 수거함 활용: 동 주민센터, 아파트 분리수거함
마무리
작은 습관 하나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배달은 편리하지만, 포장재를 제대로 분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환경 부담이 증가합니다. 오늘부터라도 올바른 분리배출 습관으로 쓰레기를 줄이고, 지구도 지키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