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리대, 물티슈 등 위생용품 올바른 폐기법

by 에버Log 2025. 8. 6.
반응형

생리대, 물티슈, 면봉 등은 우리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위생용품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러한 제품을 변기나 하수구에 버리는 실수를 하곤 하죠. 이는 배관 막힘, 환경오염, 처리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위생용품별로 올바른 폐기 방법과 잘못된 처리 사례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생리대 폐기법

  • 사용한 생리대는 일반쓰레기로 분류
  • 개별 포장지로 감싼 후 비닐봉지에 밀봉하여 배출
  • 절대 변기에 버리지 말 것 → 하수구 막힘 주범
  • 외출 시에는 휴지통이 없는 경우 위생 파우치 사용 추천

TIP: 생리대는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돼 있어 분해까지 500년 이상 소요됩니다.

2. 물티슈 폐기법

  • 모든 물티슈는 일반쓰레기 (섬유 구조상 재활용 불가)
  • ‘Flushable’ 표기 있어도 국내 하수도 환경에는 부적합
  • 변기에 버릴 경우 → 하수도 막힘 + 수질 오염
  • 대체품: 휴지+물 또는 면 손수건 사용 권장

3. 면봉·기저귀 등 기타 위생용품

  • 면봉: 일반쓰레기 (플라스틱 또는 종이심 불문)
  • 기저귀: 오염된 부분은 일반쓰레기로 밀봉 배출
  • 손소독 티슈, 알콜 티슈: 재활용 불가 → 일반쓰레기
  • 일회용 마스크: 코철사 제거 후 일반쓰레기 / 의료용은 감염병 분리수거 기준 따름

4. 잘못된 폐기의 문제점

  • 변기 투입 → 하수관 막힘 → 수백만 원 배관 공사 발생 가능
  • 소각장 과부하: 분리 안 된 위생용품은 소각 처리 부담 증가
  • 환경오염: 바다로 유입 시 해양 생물에 치명적
  • 악취 및 해충 유입: 포장 없이 배출 시 위생 문제 발생

5.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처리 습관

  • 1. 꼭 밀봉해서 버리기 (소형 위생봉투 또는 지퍼백 활용)
  • 2. 가능한 친환경 제품 사용 (천연 생리대, 수세미 등)
  • 3. 공공 화장실엔 전용 수거함 활용
  • 4. 대체재 도입 고려: 생리컵, 면 생리대, 물티슈 대체 손수건 등
  • 5. 분리배출 앱 활용: 지자체별 분리 가이드를 확인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물티슈는 왜 변기에 버리면 안 되나요?
    A. 일반 화장지와 달리 섬유가 분해되지 않아 배관을 막고 하수처리장에 큰 부담을 줍니다.
  • Q. 생리대 포장까지 다 버려도 될까요?
    A. 포장지와 생리대를 함께 비닐에 밀봉하여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면 됩니다.
  • Q. 면 생리대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A. 사용 후 찬물에 헹군 뒤 세탁기로 세탁하면 재사용 가능하며, 폐기 시 일반섬유와 동일 처리합니다.

마무리

위생을 위한 일회용품 사용은 불가피하지만, 올바른 폐기 습관은 선택의 문제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생리대, 물티슈 등의 정확한 분리 방법을 실천해 보세요. 나의 작은 실천이 환경을 지키는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